대구정책연구원(원장 박양호)은 21일 자로 “대구 섬유패션산업 르네상스 전략(안)”의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
|
|
↑↑ 대구시청 제공
|
|
연구원은 대구 섬유패션산업은 사업체수 5,376개(전체 제조업의 16.6%), 부가가치 1조 3,321억원(9.5%), 종사자수 26,397명(15.6%)을 보유한 저력 있는 산업임을 지적하면서 대구 주력 산업인 섬유패션산업의 침체를 딛고 첨단 미래신산업으로의 구조대혁신과 국내외 비즈니스 확장을 위한 르네상스 전략(안)을 제시했다. 연구원은 대구 섬유패션산업에 도전과 기회가 병존하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섬유패션산업의 중심성 순위는 17개 시도 중 2위로 여전히 중심지 기능 보유하고 있으며 대구 섬유패션산업 전국 비중은 17개 시도 중 3위로 중추 기능을 수행하고 있으나 점차 약화 추세에 있다. 또한 대구 섬유패션산업의 노동생산성(종사자 1인당 부가가치) 수준은 ’22년 서울 대비 1/3 수준으로 하락하는 등 여러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반면, 글로벌 트렌드의 변화는 대구가 글로벌 선도거점으로 도약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세계 시장이 친환경, 디지털, 첨단소재섬유로 급속히 이행하고 있는 가운데 대구는 섬유패션산업 지원기관의 집적과 우수한 R&D 수행역량 등 중요한 혁신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대구 미래50년을 향한 「대구혁신 100+1」 추진으로 산업구조 대개조와 맞물려 대구 섬유패션산업 기회의 창이 열리고 있다는 점도 중요하다고 했다.
연구원은 도전과 기회의 병존 속에서 대구 섬유패션산업 중심지, 경쟁력 약화, 글로벌 트렌드, 핵심역량, 대구 5대 미래신산업, 대구경북신공항 혁신 등이 결합해 대구 섬유패션테크산업으로의 대혁신을 위한 골든타임이 도래하고 있음을 지적했다.
대구정책연구원은 대구 섬유패션산업 르네상스의 비전으로 “대구 섬유패션산업 르네상스를 통한 첨단테크산업 글로벌 중심지로 도약”을 제안했다.
연구원은 비전 달성을 위한 6대 전략도 제안했다. 이는 ▲‘5+T(Textile)’ 미래신산업으로의 대전환 ▲대구 파워풀 SPA 브랜드 개발 ▲그린‧첨단소재‧디지털 전환 ▲테크산업형 인재양성 및 메가 R&D 기반 구축 ▲대구국제섬유박람회+대구섬유패션제품쇼핑페스타 접목 ▲세계시장 진입 인증 지원 등이다.
먼저, ‘5+T(Textile)’ 미래신산업으로의 대전환을 위해 대구 5대 미래신산업과 연계한 대구 섬유패션테크 산업‘을 제안했다. 전 세계의 섬유패션산업 트렌드에 부응해 대구 섬유패션산업을 5대 미래신산업 반열에 진입해야 한다고 했다. 특히, 5대 신산업과 연계하여 ▲고강도 섬유 복합재 ▲나노섬유를 활용한 인공피부 ▲로봇 보호 섬유 ▲의료용 웨어러블 기기 개발 ▲반도체 클린룸 소재 등 개발을 강화하고, 5대 신산업 거점(수성알파시티 등)과 연계하여 특화 첨단 패션업종 개발할 것을 제안했다. 특히 십자형(2)+1과 4거점(서구, 달서구, 달성군, 중구) 구축 등 대구 섬유패션산업 테크노 밸리 구축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대구 파워풀 SPA 브랜드 개발과 관련해서는, 대구 섬유패션산업 대표기업이 참여하여 유통시장을 선도하는 Made in Daegu SPA 브랜드를 개발할 것을 제안했다. 이를 위해 산학연 중심의 선도적 컨소시엄을 구성해서 개발하는 방안과 동시에, 국내 섬유패션 기업, 신진 디자이너 등을 대상으로 한 공모방식의 병행 추진을 제안했다.
그리고, 그린‧첨단소재‧디지털 제품생산 및 공정의 활성화를 위해 친환경 및 리사이클링 공정‧제품을 중심으로 섬유패션 글로벌 트렌드를 적극 수용해야 함을 강조했다. 이를 위해 ▲그린&클린 팩토리 구축 지원 사업, 글로벌 환경기준 대응 친환경 섬유소재 제조 지원 사업, ESG 경영 활성화 ▲섬유패션 기술력 향상 및 패션산업 지식기반화 구축 사업 ▲섬유패션 소재산업 빅데이터 플랫폼(AI 분석 등) 구축 등을 제안했다.
또한, 대구 첨단 섬유패션 Tech 산업형 인재양성 및 메가 R&D 활성화를 위해서는 먼저, 섬유패션산업의 디지털 전환과 친환경 기술 트렌드에 맞춰 실무 중심의 인재양성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제안했다. 그리고, 섬유패션 관련 연구기관 간의 네트워크 구축, 메가 R&D 체제, 상호 공동연구·공동성과 창출 및 개발된 신기술의 산업체 이전 활성화를 통해 연구개발을 강화해야 함을 제안했다. 더불어, 섬유패션 관련 국내외 캠퍼스 설립 및 글로벌 섬유패션 인재 양성 파트너십 구축, 동성로 도심 캠퍼스 활용, 밀라노·파리 등 해외 섬유패션 중심도시와의 교류협력 강화를 제안했다.
대구국제섬유박람회와 대구섬유패션제품쇼핑페스타를 연계한 섬유패션 유통 비즈니스의 거점화‘를 위해서는 생산자 중심의 대구국제섬유박람회를 생산자‧소비자가 함께 참여하는 박람회로 구조 개편해야 함을 지적하면서, 현행의 대구국제섬유박람회를 섬유패션테크박람회로 승격과 함께 대구섬유패션쇼핑페스타 행사와 접목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백화점(신세계 등), 동성로 관광특구, 서문시장, 아울렛, 온라인쇼핑몰, 면세점 등 대표 유통기관과의 협력을 제안하고 섬유패션 쇼핑 허브도시로 대전환해야 함을 강조했다. 그리고, 대구시에서 개최되는 K-패션, K-뷰티 등 K-컬처 월드 이벤트·판타지아대구페스타 등과 결합해 대구그랜드쇼핑페스타 성과를 확산시키고 아울러 국제스포츠 이벤트 등과도 연계한 아웃도어 세일즈 쇼핑페스타를 추진을 제안했다.
가령, 2025년 2월 대구국제마라톤대회(4만명 참가)와 연계해 대구 지역의 아웃도어 세일즈 페스타 추진하는 방안이 있다.
마지막으로, 원단품질인증, 친환경인증 등 해외 시장 진출 촉진을 위한 대구 섬유패션 제품의 인증지원에 관련해서는 ‘대구산 원단인증제도’를 도입하여 변화된 세계 시장 진출 촉진과 블루사인(Blusign), GRS 등 글로벌 친환경 인증 획득을 위한 맞춤형 컨설팅‧교육 등 지원 등을 제안했다.
연구원은 대구 섬유패션 르네상스의 기대효과로 ▲5대 미래신산업과 대구 섬유패션산업의 동반성장으로 첨단 미래 섬유패션테크산업으로 대전환(TX) ▲대구국제섬유박람회를 대구그랜드쇼핑페스타에 접목해 소비자가 선호하는 섬유패션제품 구매 대폭 확대 및 비즈니스 활성화, ▲대구 섬유패션 르네상스와 동성로 르네상스가 결합하여 동성로가 대구 섬유패션 비즈니스 허브로 재탄생 및 동성로관광특구와 시너지 효과 대거 창출 ▲전국 생산유발 5조 1,534억원, 부가가치유발 1조 7,124억원, 취업유발 33,103명의 경제 파급효과(연간 매출액 500억 규모의 섬유패션기업이 2030년까지 50개 기업이 육성될 경우)를 제시했다.
끝으로, 연구원은 ▲대구 섬유패션산업 르네상스를 추진하기 위한 「컨트롤 타워」 구축과 ▲대구 섬유패션산업 르네상스 「비전 및 전략」 공표, ▲대구 섬유패션산업 르네상스 「액션플랜」 수립, 추진(대구시 관련 실·국·과, 관련 연구기관 및 공공기관, 섬유패션업체와의 협업) 등을 향후 과제로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