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주시장 선거가 10개월이 채 남지 않았다. ‘2026년 상주 시장 선거에 누가 뛰나?에 앞서 현 상주의 문제점과 상황을 먼저 짚어 보는시간을 가져본다. 그 첫째 시간으로 상주신청사 건립 문제를 짚어본다.
![]() |
↑↑ 상주시선거관리위원회 |
이를 반증하듯 행복상주만들기 범시민연합은 '설문조사에서 민주적 기본절차를 지키지 않았다'며 주민소환을 실시, 상주시민 1만4천444명의 서명을 받아 제출했다.
상주시 선거관리위원회는 지난 2023년 12월 27일 상주지역 시민단체인 ‘행복상주만들기 범시민연합’이 상주시장에 대한 주민소환투표 청구 건을 청구 요건 미달(상주시민 1만4천444명에서 무효서명인 6천993명 중 5천150명은 미비한 점을 보정하면 유효 서명이 될 수 있는 보정무효-잠정적무효- 표지만 1천843명은 상주시에 주소지가 없거나 미성년자 등의 원인으로 효력 없음이 확정된 원천무효, 무효표 1천843명을 빼면 상주유권자의 15%인 1만2천546 명의 정족수 미달)로 각하한 바 있다.
당시 주민소환이 무산되자 상주시 일각에서는 “양측(신청사 이전에 찬성하는 상주시청 등과 반대하는 행복상부만들기 범시민연합 등)의 화합을 통해 상주의 발전을 도모해야 한다”는 상주 시민들의 목소리가 나오기 시작했다. 특히, 상주를 걱정하는 시민들은 “양 측이 결기를 통해 상주의 미래 발전이라는 진정성을 확보해 줄 것”을 기대한바 있다.
그러나 2025년 8월 현재, 통합을 주장하는 목소리는 간 데 없고, 상주시청 신청사 추진은 여전히 그날 그때에서 한발도 앞으로 나가지 못하는 형국이 됐다. 특히, 2025년 초에는 두 번째 주민소환이 다시 불거지기도 했다, 이번 주민소환은 시장 뿐 아니라 상주시의회 의원들까지 포함되었었다.
이처럼 양 측의 대립은 더욱 첨예화됐다. 그리고 이제 10개월여 앞으로 다가온 지방선거로 인해 주민소환은 불가한 형편이다.(법률상 주민소환은 잔여임기 1년 이상으로 제한된다)
상주시청 관계자는 “2023년 주민 설문조사는 아무런 하자가 없었다. 상주시의 홍보 방법은 이통장 등을 통해 홍보를 한다”고 반박했다. 또한 “공무원 설문조사에서도 그렇게 결과가 나왔다”면서 설문조사 결과에 집중하는 듯한 태도를 보였다. 그러나 기자의 질문은 ‘설문조사 방식에 문제가 있지 않았느냐’였다.
‘왜 주민들이 원하는 방식대로 설문조사(여론조사)를 한 번 더 실시하지 않았느냐’는 기자의 질문에 “당시 이 자리(담당자)에 있지 않아서 답변하기가 곤란하다”고 말했다.
그러나 다시 설문(여론)조사를 하는 것은 너무 늦은 감이 있다. 지방선거가 10개월도 채 남지 않았기 때문에 설문(여론)조사를 시작한다면 현 상황에서 차기 시장 선거를 더욱 부추기는 모양세가 되기 때문일 것이다. 상주시장도 이런 톤으로로 얘기를 한 바있다.
신청사 이전을 위해 역대 시장과 시민들이 모아 둔 예산과 새로운 상주 건설을 위한 상주 신청사의 꿈은 모두가 꾸는 꿈이지만, 그 방법론에서 여론이 흩어지고 말았다. 그런 여론을 수습하지 못한채 2년의 시간이 흘렀으며, 차기 시장선거는 다가오고 있다. 어떤 후보가 시장이 되더라도 상주시청의 신청사 건설은 더 미룰 수 없는 사안이되었다는 것은 자명하다.
그리고 지난 7월 22일 미래상주 토크보고회에서 강영석 상주시장은 “(신청사 건립은)내년 지방선거를 통해 선택해야 할 것”이라 했다. 반대론자들은 “자신이 충분히 할 수 있었던 일을 (내년까지 포함하면) 근 3년이나 허송세월 시키고 선거로 몰고 가는 것은 뻔뻔한 모습이다”며 크게 반발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주시 무양동에서 만난 한 시민은 “상주시장이나 시의원들 모두 똑같다. 서로 협치하고 양보하면서 풀 것은 풀어야지 계속 어깃장만 놓고 있는 것이 말이 되느냐”며 안타까워 했다.
2026년 6월 3일 지방선거의 상주시장 후보자들은 이미 넘쳐나고 있다. 흩어진 상주시민들의 민심, 누가 다 잡아야 하나? 차기 시장의 임무가 분명하다. 차기 상주시장은 경상도(경(慶)은 경주, 상(尙)은 상주를 의미한다)의 상주 시절을 말로만 들려줄 것이 아니라 행동으로 되찾아 주는 진짜 시장이 되어야 한다는데 방점을 찍는다.